목록전체 글 (52)
Done is better than perfect
SSR과 CSR의 차이SSR(Server Side Rendering): 서버쪽에서 렌더링 준비를 끝마친 상태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방식이다. JS가 다운로드 되는 동안 사용자는 무언가를 보고 있을 수 있다네트워크가 느릴 때 / SEO(검색 엔진 최적화)가 필요할 때 / 최초 로딩이 빨라야하는 사이트를 개발할 때 / 메인 스크립트가 크고 로딩이 매우 느릴 때 / 웹사이트 상호작용이 별로 없을 때수분을 준다 CSR(Client Side Rendering): 렌더링이 클라이언트 쪽에서 일어난다. 서버는 요청을 받으면 클라이언트에 HTML과 JS를 보내준다. 클라이언트는 그것을 받아 렌더링을 시작한다.유저가 웹사이트 요청을 보냄 → cdn(aws의 cloudflare를 생각하면 됨. 엔드 유저의 요청에 물리적..
BufferedReader br은 한번만 선언해줘야함! 아니면 runtime error가 남😭
모놀리스(monolith)->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모든 모듈과 코드를 한 프로젝트에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장점: 한 프로젝트 내에 모든 모듈과 코드가 있으므로 개발이 간단 편리단점: 서비스가 확장되면 흐름 이해하기 어려움 / 테스트 속도가 느려지고 빌드도 느려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(microservice architecture)->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을 독립적인 프로젝트들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. 멀티리포-> 시스템의 서비스별로 repository를 각자 만들어서 관리한다 장점: 강한 오너쉽 / 작업 충돌 안일어남 / CI(continuous integration) 속도가 빠름단점: 중복 코드 가능성이 높아짐 / 버전 연동이 깨질 위험 / dependency h..
가우시안 블러 cv2.GaussianBlur-> 이미지의 노이즈를 줄이고 부드러운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-> 필터 중앙에 큰 가중치, 필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은 가중치를 준다(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도록) 장점:자연스러운 블러링 효과 + 효율적인 노이즈 제거 다른 블러링 기법 - cv2.blur: 필터 박스안의 픽셀들의 값을 평균을 내는 것 - cv2.medianBlur: 필터 박스 내의 픽셀 값들의 중앙값으로 대체하는 것 import numpy as npimport cv2blue, green, red = (255, 0, 0), (0, 255, 0), (0, 0, 255)white, black = (255, 255, 255), (0, 0, 0)image = np.full((480, 640, ..
큐에 넣을 때 방문 표시를 해야한다! 큐에서 뺀 뒤에 방문 표시를 하였을 때, 시간 초과가 날 가능성이 있다. -> 이유: 큐에 중복으로 들어가기 때문

제 1부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?8/20법칙 기억하기 중요한 일에 파고들어라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?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,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작업 전환에는 대가가 따른다만성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는 감각이 떨어진다.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?적은 자기통제력 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습관 하나에 충분한 시간을 들여라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?의지력의 수명은 정해져 있다.머리를 많이 쓸수록 정신력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-> 음식을 먹어야 함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한다.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?직업적 양동이의 무게를 맞추고 개인..
출처: https://www.samsungsds.com/kr/insights/future_of_generative_ai_1.html ChatGPT를 넘어, 생성형 AI(Generative AI)의 미래 – 1편 | 인사이트리포트 | 삼성SDS 생성형 AI는 기계가 콘텐츠, 예술, 음악 등을 만들고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의 하위집합으로 여러 산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입니다. 생성형 AI는 독 www.samsungsds.com https://www.samsungsds.com/kr/insights/future_of_generative_ai_2.html ChatGPT를 넘어, 생성형 AI(Generative AI)의 미래 – 2편 | 인사이트리포트 | 삼성SDS 생성형..